이달의 헬스플러스신생아집중치료지역센터 센터장 임령경

이달의 헬스플러스

신생아 황달이란?

황달은 혈액 속의 빌리루빈 농도가 증가하면서 피부에 빌리루빈이 축적되어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황달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신생아의 황달은 성인의 황달과 그 원인이나 치료방법이 많이 차이가 납니다. 신생아 황달은 생후 첫 주에 만삭아의 60%, 미숙아의 80%에서 나타날 정도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입니다. 대부분은 아무런 이상 없이 곧 회복되는 양호한 경과를 보이지만 일부에서 심한 신생아 황달을 제때 치료하지 못해 뇌신경계에 손상을 일으키는 핵황달을 유발하거나 다른 질병의 증상으로 황달이 나타나는 경우 제때 원인을 밝히지 못하면 후유증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원인을 찾아서 그에 맞는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생아 황달의 원인은 어떤 것이 있나요?

흔히 볼 수 있는 신생아 황달의 원인은 생리적 황달, 모유 황달, Rh 혈액형 부적합성 황달, ABO 혈액형 부적합성 황달, 그 외에도 감염이나 간염, 담관이상 등의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생리적 황달은 태아형 헤모글로빈이 성인형 헤모글로빈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태아형 헤모글로빈이 파괴가 많아지면서 발생하거나 또는 신생아의 간 대사능력이 미숙하여서 빌리루빈을 처리하고 배출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개는 태아기에서 신생아기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가벼운 황달이며 보통 태어난지 3~5일에 생겨서 7~10일경 저절로 좋아집니다. 아기의 머리에 출생 과정에서 생긴 혈종이 크게 있는 경우 황달이 심하게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모유를 먹는 아기에서는 분유를 먹는 아기에 비해서 신생아 황달이 더 잘 생기는데 초기에 모유수유가 충분하지 않아서 생기는 조기 모유 황달이 있을 수 있고 출생 후 되도록 빨리 모유수유를 시작하고 자주 수유를 하여주는 것이 예방법이 되겠습니다. 생후 1주 이후에도 황달이 지속되는 경우 후기 모유 황달이라고 하며 이때는 심한 황달이 오기도 하며 심한 경우 1~2일간 모유를 중단하고 분유를 먹이면 대개 황달이 호전되기도 합니다. 심한 황달이 오면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입원해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모유 황달이 있다고 해서 모유에 문제가 있다는 것은 아니며 모유를 영구적으로 중단하지 않습니다. 심하지 않다면 모유를 계속 먹이면 되고 심한 경우 1~2일 정도 분유를 먹일 수는 있으나 황달이 호전되면 다시 모유를 먹이면 됩니다.

신생아 황달 중에 꼭 진료를 받고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도 있나요?

신생아에서 황달이 다 저절로 좋아지는 것은 아니고 병적 황달로 생각되어서 꼭 진료를 받아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황달이 생후 24시간 이내에 나타나거나 10일 이상 황달이 지속되는 경우는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피검사를 했다면 빌리루빈이 하루 5mg/dL 이상 높아질 때, 총 빌리루빈이 15mg/dL 이상일 때, 빌리루빈 중 포합 빌리루빈이 올라간 황달일 때는 생리적 황달이나 모유황달이 아닌 병적황달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원인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포합 빌리루빈이 올라간 황달의 경우 드물지만 선천성 담관 폐쇄증 등의 간이나 담관의 이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황달 외에 다른 증상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발열이나 창백증, 피부발진, 복부 팽만, 구토나 설사, 미색변 등이 있는 경우도 반드시 진료를 받아야합니다.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직접형 빌리루빈이 상승하는 경우는 반드시 원인을 밝혀내서 원인에 따른 치료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생리적 황달과 모유황달이고 이 경우에는 그 수치에 따라 치료를 하게 됩니다. 가장 흔히 하는 치료는 광선 요법입니다. 피부에 축적된 빌리루빈은 빛을 쬐면 형태가 변하면서 담즙이나 소변으로 배설되게 됩니다. 이 경우 치료에 효과적인 광선의 빛과 파장이 있으므로 햇빛을 쪼이는 것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광선 요법을 시행하게 되면 지속적으로 시행하며 피부 노출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아기의 옷을 벗기고 자세를 자주 바꾸어주게 됩니다. 아기의 눈에 강한 빛이 노출되면 망막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안대를 해서 눈을 보호하게 됩니다. 광선 치료의 부작용으로는 묽은 변, 피부 발진, 탈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심한 부작용을 보이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심한 황달로 핵황달의 위험성이 높거나 광선요법을 하여도 빌리루빈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때, 그리고 광선요법 중에 빌리루빈 농도가 떨어지고 있더라도 핵황달을 시사하는 임상징후가 있다면 교환수혈이라는 치료를 하게 됩니다. 교환 수혈은 황달이 심한 아기의 피를 정상인 피로 바꾸어 주어 황달 수치를 빨리 떨어뜨려주는 치료법입니다.

핵황달은 무엇인가요?

심한 신생아 황달에서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가 과하게 올라가게 되면 신생아의 미숙한 혈액-뇌장벽을 빌리루빈이 통과하게 뇌의 일부조직에 빌리루빈이 침착하여 신경손상을 입히게 되는 병입니다. 만삭아에서는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가 20mg/dL, 이상 일 때 생길 수 있다고 하고 미숙아에서는 이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생길 수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핵황달이 생기게 되면 아기가 쳐지면서 잘 먹지 않고 많이 자게 되고 더 진행하게 되면 째지는 듯한 울음소리를 내고 경련을 하기도 하며 심한 경우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살아남게 되더라도 뇌성마비, 경련, 지능 장애, 청력 소실 등의 후유증이 남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핵황달이 생기게 되면 특별한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핵황달이 생기기 전에 미리 황달을 치료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그러므로 황달이 있다면 보호자의 판단만으로 진료나 치료를 지체시키지 마시고 가까운 소아청소년과를 방문하여 상담하시고 필요하다면 반드시 진단과 치료를 하시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COPYRIGHT(c) 2015 BUSAN ST. MARY'S HOSPITAL ALL RIGHT RESERVED.
(우) 48575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로 232번길 25-14 | 대표전화 051.933.7114 | 팩스 051.932.8600